1. 개요
대표적인 열대과일 중 하나. 광합성을 하는 외떡잎식물 벼목 파인애플과의 식물이다. 초본성 여러해살이풀에서 나오는 작물이라, 초본성에 바나나와 함께 채소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나, 대체론 여러해살이 풀에서 나기에 바나나와 함께 과일로 분류한다.
2. 발견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북부 원산으로 그곳에서는 오래전부터 재배했고, 포르투갈, 스페인을 통해 세계 각지에 퍼졌다. 루이 14세가 껍질도 안 벗기고 손으로 집어먹었다가 혀를 다쳐 분노한 나머지 이 과일을 먹는 것을 금지하기도 했다.
처음 유럽에 소개된 것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스페인으로 들고 왔을 때다(1493년). 스페인 왕실과 귀족들이 이를 나눠 먹어보고 너무나 달고 맛있다며 유럽에서 재배를 시도했지만 유럽의 기후에서는 파인애플이 자라지 않았기에 실패. 대서양을 건너 배로 수송하는 수밖에 없었으며, 당연히 엄청난 고가품이었다.
17세기에 네덜란드와 영국에서 몇몇 업자들이 온실 재배에 성공해, 그나마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허나 공급량이 적은 데다 수요가 높아 엄청난 고가품이었으며(대략 지금 돈으로 하나에 500~900만 원 정도), 귀족들조차도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때문에 당시에는 파인애플은 부의 상징이었으며, 전신 초상화를 그릴 때 파인애플을 들고 있는 모습을 그리는 것이 유행이었다(예:파인애플을 받는 찰스 2세). 심지어 18세기에 지어진, 파인애플 조형물을 얹은 석조 저택도 있다.
3. 이름
포르투갈어인 ananas는 카리브 지역 토착어인 nanas(거북열매)에 접두어를 붙인 형태다. 영문명인 파인애플은 pine(소나무)+apple(사과)이고, 사실 영어권과 스페인어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서구권에서는 anana와 비슷한 이름으로 부른다.
파인애플이란 명칭은 열매의 모양이 솔방울과 비슷하다 하여 스페인에서 piña라고 한 게 어원으로 이를 영국과 미국을 비롯한 영어권에서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다. 물론 한국과 일본에도 이 명칭으로 들어왔다.
중국어에서는 보뤄(/대륙, 홍콩, 마카오), 펑리(鳳梨/대만), 황리(黃梨/말레이시아, 싱가포르)라고 표기한다. 보뤄는 바라밀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4. 식물과 구조
꽃들이 모여 합체한 겹열매(複果)이다. 줄기 하나에 열매 여러 개가 달린 형태로, 겉의 알맹이 하나가 열매 한 개이고, 꼭지는 줄기의 연장선이다. 시중에 파는 파인애플은 열매 송이를 줄기째 잘라낸 것이다. 덕분에 특이하기 짝이 없는 모양새를 가졌는데, 이걸 처음 봤던 사람들이 대부분 솔방울 혹은 거북 쪽을 연상해서 이름도 그쪽으로 지어졌다. 생김새 때문에 과일 부분은 감자처럼 땅에 박혀서 자라고 위에 풀때기만 땅 위에 솟아서 자란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5. 음식으로서
파인애플의 과즙 내에는 다량의 산과 단백질 분해 효소인 브로멜린이 있기에 많이 먹으면 입 안이 따갑고 얼얼해지며, 입천장 까지는 건 다반사요, 심하면 입이 헐어 아예 피가 날 수도 있다. 위는 애초에 산을 내뱉는 곳이고 단백질 분해 효소도 위벽의 점액이 보호해주므로 뱃속에 들어가면 괜찮다.
단백질을 분해하는 브로멜린의 특성을 이용해 질긴 고기의 연육에 파인애플이 쓰이기도 한다. 질기고 맛없기로 유명한 홍두깨 살마저도 스테이크로 먹을 수 있게 만든다. 파인애플은 비슷한 종류의 분해 효소를 가진 무, 배와는 비교를 불허할 정도로 그 효력이 차원을 달리한다.
파인애플에 함유된 이 브로멜린의 본래 목적은 기생충을 처리하는 것으로, 과육을 먹기 위해 기생하는 애벌레들을 녹여버리기 위해 분비하는 것이다. 물론 자연에서의 이런 싸움들이 늘 그렇듯이 열대지방에는 이 효소에 내성을 가진 벌레가 있다.
다른 과일들이 비타민 C가 많은 반면에 파인애플은 비타민 B1이 많다.
베트남에 가면 이걸 껍질을 벗긴 채로 노점에서 판다. 지그재그처럼 돌리듯 껍질을 까면서 그야말로 최소한만 버리고 철저하게 먹는다. 한국 노점에서도 길쭉하게 토막 내어 나무 꼬치나 젓가락에 꽂아 팔기도 한다. 여름에 큰 얼음 위에 올려놓은 모습이 많이 보인다.
스테이크 등을 구워먹을 때 함께 그릴에 얹어두고 구워 먹어도 맛있다고 한다. 실제로 스테이크 조각과 파인애플 등을 꼬치에 꽂아서 들고 다니면서 먹기도 한다.
대만 음식 중에서는 파인애플 잼이 든 쿠키인 펑리수(鳳梨)가 유명하다.
임산부가 먹어서는 안 되는 과일이라는 설도 있는데, 단백질 분해 효소가 유산을 유발한다는 이야기다. 전문가의 말에 따르면 하루에 파인애플 7~8통을 먹어치운다면 안 좋을 수도 있다고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그렇게 먹을 일이 없으므로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단맛이 강해 칼로리가 높을 것 같지만 100g당 약 50kcal정도이다. 다른 초본성 과일인 딸기, 수박, 멜론 등에 비하면 칼로리가 높지만 바나나보다는 낮다.
파인애플 잎사귀를 이용한 가죽 피나텍스(Pinatex)가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파인애플 약 16개 분량 또는 480개의 잎사귀로, 1평방미터의 피 나텍스를 생산할 수 있으며, 가죽에 비해 1/4 수준으로 가볍고 30%가량 단가가 낮다고 한다. 왁스 가공을 통해 방화 기능,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
파인애플에 들어있는 브로멜린이란 성분은 단백질 소화를 도와준다. 그래서 소화불량이나 복부팽창 등의 증상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염증을 완화시켜 주기에 특히 갑상선 건강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항산화 성분 이 풍부하여 피로회복과 근육 회복에도 도움을 주며 100g에 23kcal로 칼로리는 낮고 식이섬유는 풍부하려 다이어트와 피부미용에도 도움이 된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차에 대한 모든 것. (0) | 2020.06.16 |
---|---|
수박에 대한 모든 것. (0) | 2020.06.01 |
멜론에 대한 모든 것. (0) | 2020.05.31 |
홍차에 대한 모든 것 - 2 (0) | 2020.05.24 |
홍차에 대한 모든 것-1 (0) | 2020.05.24 |
댓글